전체 글 (13) 썸네일형 리스트형 재즈화성학 #5-1. 텐션(tension) 재즈를 배우기 전에 이론적으로 가장 먼저 배우는 보이싱이 있다. 그동안 '도미솔' / '도미 솔 시' 정도만 치던 나에게는 굉장히 혁명이었던 기억이 있다. 위의 악보를 쳐보면 지금까지 쳤었던 코드들과는 다른 굉장히 색다른 느낌을 받을 수 있다. 찬찬히 뜯어보면 1,3,5,7음 외에 다른 음들이 껴있다. G7에서 솔시레파 말고 갑자기 라, 미음이 나온다거나 하는 경우이다. 이러한 보이싱을 만드는 것. Tension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자!! ---------------------------- Tension이란 뭘까? 7th chord를 만든 다음에 3도씩 쭉 쌓아보면 어떻게 될까? 도 미 솔 시 위로 레 파 라 가 쌓이고 다시 도부터 반복된다. 이걸 숫자로 표현해 보면 1,3,5,7 위에 9, 11, 13.. 재즈화성학 #4. 선법(mode) mode는 무엇인가? 우선 mode가 나오게 된 배경을 살펴보면, 중세 유럽의 교회에서 예배를 드릴 때 그레고리안 성가를 불렀는데, 그 멜로디를 만들기 위해 사용했던 스케일이 mode이다. 교회에서 사용되었다고 해 church mode라고 하기도 한다. 그 이후 여러 시대를 거치면서 음악적인 변형/생성을 거치게 되는데 대표적으로 살아남은 두가지 모드가 현재 사용하는 major scale과 minor scale이다. 재즈에서는 1950년대 이후 mode를 재즈에 사용하였다. Mode의 종류는 7가지로 Ionian(아이오니안), Dorian(도리안), Phrygian(프리지안), Lydian(리디안), Mixolydian(믹소리디안), Aeolian(에오리안), Locrian(로크리안)이다. 1. Ionia.. 재즈화성학 #3-2. 화음(chord) - 7화음(7th chord) #3-1, 3화음 파트에서 음이 3개로 구성된 3화음, 4개로 구성된 4화음.. 또 음정에 따라 7화음 9화음 등이 있다고 했다. 그 중 오늘 다루어볼 것은 7화음이다. 7화음이란 무엇인가? 7화음(7th chord) : 4개의 음으로 구성. 근음부터 마지막 음까지 7도로 떨어져있는 코드. 7코드의 종류는 기본적으로 4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기본 7th chord : 1. Major 7th chord (메이저 세븐스 코드) : major triad + 장 7도 2. Dominant 7th chord (도미넌트 세븐스 코드) : major triad + 단 7도 3. Minor 7th chord (마이너 세븐스 코드) : minor triad + 단 7도 4. diminished 7th chord (디미.. 재즈화성학 #3-1. 화음(chord) - 3화음(traid) 화음(Chord)는 무엇일까? : 높이가 다른 2개 이상의 음이 동시에 울리는 것 4개 음으로 된 화음을 4화음, 5개의 음으로 된 화음을 5화음이라고 부르기도 하지만, 밑음과 가장 위의 음 사이가 7도가 되는 것을 7화음, 9도가 되는 것을 9화음이라고도 한다. 그 중에서도 이번에는 3화음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한다. 3화음(traid) : 3개 음으로 된 화음. 1 ) Major Traid (장3화음) 근음 + 장3도 + 완전 5도 : 영어 대문자로 표기 (M/Maj/Major과 함께 사용하기도 함) 2 ) Minor Traid (단3화음) 근음 + 단 3도 + 완전 5도 : 영어 대문자에 '-' 혹은 'm'을 같이 써서 표기 (min/minor과 함께 사용하기도 함) 3 ) augmented (증3화.. 재즈화성학 #2-2. 음정(Interval) - 겹감/감/증/겹증 임시표(#, b)가 적용된 음정은 어떻게 찾아야 할까? 이 표를 기준으로 1. 임시표가 없다고 생각하면서 흰건반끼리의 음정을 파악한 후 2. 임시표를 적용해 표에서 왼쪽 혹은 오른쪽으로 이동하며 맞는 최종 음정을 파악한다. 예를 들어 첫 번째 마디부터 위의 파악하는 순서에 따라 차례차례 살펴보면, 1-1) 임시표가 적용되지 않았다고 생각하고 솔과 도는 완전 4도이다. 1-2) 임시표를 적용하면 음정의 사이(간격)가 줄어들었으므로 표의 왼쪽으로 이동해 감 4도이다. 2-1) 임시표가 적용되지 않았다고 생각하고 라와 솔은 단 6도이다. 2-2) 임시표를 적용하면 음정의 사이(간격)가 줄어들었으므로 표의 왼쪽으로 이동해 감 6도이다. 3-1) 임시표가 적용되지 않았다고 생각하고 도와 솔은 완전 5도이다. 3-.. 재즈화성학 #2-1. 음정(Interval) - 장/단/완전음정 스케일에 대해 얘기할 때 계속해서 장3도, 음정.. 어쩌구저쩌구 했던 것들이 있다. 이것이 음정에 대한 내용이다. 음정은 뭘까? 음정이란 두 음 사이의 간격을 뜻한다. 음정은 성질+숫자로 구성되어있다. 예를들면 장3도라 하면 장(성질) + 3도(숫자)인 것이다. 완전음정 장/단음정 1,4,5,8 2,3,6,7 성질에 대해 살펴보기 전에 숫자가 무엇인지 알아보자! 숫자를 파악하는 것은 정말 쉽다. 첫번째 노트를 보면 미와 시이다. 밑에서부터 계이름을 세어보면 미.파.솔.라.시 =5이다. 그러면 숫자는 5가 되는것이다. 두번째것도 보면 샾이 붙어서 복잡해보이지만 숫자만 세어보면 솔# 라 시. = 3이다. 세번째는 7, 네번째는 6, 다섯번째는 3이 된다. 숫자는 이정도면 완벽하다. 그렇다면 성질은 어떻게 알.. 재즈화성학 #1-2. 음계(scale) -단음계 minor scale은 종류가 3가지가 된다. 1. natural minor scale (자연 단음계) natural minor scale의 반음의 위치는 2,3음과 5,6음이다. natural minor scale은 무엇일까? 저번에 보았던 C major scale이다. 여기서 6번째 음(라)부터 차례로 scale을 시작하면 natural minor scale이 된다. 2. harmonic minor scale (화성 단음계) harmonic minor scale의 반음의 위치는 2,3음 5,6음, 7,8음이고, 6,7음은 증 2도이다. natural minor scale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만들어진 음계이다. C major scale의 이끔음(leading tone)과 으뜸음(tonic)은 각각 .. 재즈화성학 #1. 음계(scale) -장음계 음계에 들어가기 앞서, 화성학(Harmony)란 무엇일까? 화성학 : 코드진행(Chord progression)의 구체적인 방법에 대한 학문. 화성학을 공부하기 위해 가장 기본적으로 학습해야 할 것이 음계이다. 그렇다면 scale은 무엇일까? - 음조(音調)를 낮은 음에서 높은 음으로, 어떤 정해진 구분 방법에 따라서 배치한 것. 음계라 한다. 곧 한 음이 반복될 때까지 순차적으로 쌓은 음의 집합이라고 할 수 있다. (위의 사진을 보면 도에서 도까지 반복(옥타브)되고, 반복되기 전 음들이 온음이나 반음으로 움직인다.) 이 스케일은 크게 장음계(Major scale)와, 단음계(Minor scale)로 나눌 수 있다. 먼저 Major scale의 정의에 대해 알아보기로 하자! ----------------.. 이전 1 2 다음